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한국 성인 10명 중 4명이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작용 대부분은 팔 통증이었고 접종자들이 심각하다고 느낀 부작용은 오한·발열이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한국 성인 10명 중 4명이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작용 대부분은 팔 통증이었고 접종자들이 심각하다고 느낀 부작용은 오한·발열이었다. 특히 1차보다 2차 접종에서 부작용 경험이 많았다. 제조사별로는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 접종자의 부작용 경험자가 많았다.
컨슈머인사이트는 한국 20~79세 성인 남녀 1만8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부작용 경험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 대상 중 백신을 1회 이상 접종한 사람은 96.5%(9734명)였다. 이 중 42.1%(4102명)가 부작용을 경험했다. 부작용 경험자 대다수(83.3%)는 주사 맞은 팔에서 통증을 겪었고 ▲근육통(62.4%) ▲피로감(54.4%) ▲두통(50.1%)을 경험한 사람도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오한·발열(48.5%) ▲팔 부어 오름(26.0%) ▲메스꺼움·구토(16.4%) ▲팔 붉어짐(13.6%) 등이 나타났다.


경험한 부작용 중 주관적으로 '심각하다'고 느낀 것 중 오한·발열(20.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주사 맞은 팔 통증(20.1%), 근육통(16.5%)이었으며 두통과 피로감도 각각 10%대였다. 기타 증상을 호소한 응답자는 11.6%에 달했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청년층이 노년층보다 부작용 경험률이 높았다. 여성은 거의 절반(49.4%)이 부작용을 경험한 반면 남성은 3명 중 1명꼴(35.0%)이었다

연령대별로 20대와 30대 모두 50%를 넘어 별 차이가 없으나 40대부터 매 연령대마다 6~7%p씩 낮아져 60대는 31.8%였고, 70대는 25.1%로 떨어졌다. 20·30대가 70대의 2배를 넘었다. 여성과 젊은층(면역력이 강한) 사이에 부작용이 심하다는 일반적인 소견과 동일한 결과다.
접종 차수별로는 2차 때가 18.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3차(13.3%), 1차(12.3%) 순이었다. 같은 백신이라도 심각한 부작용 경험률은 접종 차수에 따라 편차가 컸다는 게 컨슈머인사이트의 분석이다. 심각한 부작용 경험률은 모더나 2차 접종 때가 35.8%로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얀센 1차(21.8%) ▲화이자 2차(18.8%) ▲AZ 1차(17.5%) 순이었다./인포그래픽=컨슈머인사이트
백신 제조사에 따라 부작용 유형별(복수응답)로 일부 차이가 있었다. 모더나는 주사 맞은 팔 붉어짐(21%)과 팔 부어오름(34%)이 많았다. 얀센은 피로감(68%) 경험률이 전체 백신 평균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화이자는 기타(21%) 응답률이 다른 백신보다 2배가량 많았는데 생리 불순을 호소한 사례가 많았다. 반면 오한·발열(43%)은 다른 백신(53~64%)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고령층에 우선적으로 배당된 AZ는 대부분 항목의 부작용 경험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접종 차수별로는 2차 때가 18.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3차(13.3%), 1차(12.3%) 순이었다. 같은 백신이라도 심각한 부작용 경험률은 접종 차수에 따라 편차가 컸다는 게 컨슈머인사이트의 분석이다. 심각한 부작용 경험률은 모더나 2차 접종 때가 35.8%로 전체를 통틀어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얀센 1차(21.8%) ▲화이자 2차(18.8%) ▲AZ 1차(17.5%)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