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얀센, 코백스 퍼실리티(코백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1665만회분을 공급받지 않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신속항원검사 병원 냉장고에 보관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모습./사진=뉴스1
정부가 올해 국내 도입이 예정됐던 얀센과 코백스 퍼실리티(코백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1665만회분을 공급받지 않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질병청)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코로나19 백신 수급 조정 방안을 발표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정부가 확보한 백신은 1억6000만회분이다. 이중 2694만회분이 도입됐다. 도입된 물량은 작년에 이월된 물량과 함께 국내 예방접종에 활용됐고 현재 남아있는 백신 물량은 총 1876만8000회분이다.


백신 종류별로 화이자 1137만9000회분, 모더나 402만5000회분, 얀센 198만5000회분, 노바백스 31만5000회분이 있다. 소아용 화이자 백신은 106만5000회분이 남았다.

정부는 확보한 백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 얀센 백신과 코백스에 대해 공급 물량을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얀센 백신 물량을 400만회분 축소했다. 확보 물량 449만회분에서 49만회분은 이미 국내에 도입됐기 때문에 국내에 추가적인 얀센 공급은 없을 예정이다.


코백스를 통해 구매한 2000만회분은 이미 도입된 252만회분과 지난해 8월 배정 받았던 아스트라제네카 483만회분을 제외한 1265만회분에 대해 추가 도입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화이자 백신은 오는 3분기에는 공급하지 않도록 협의했다. 모더나 백신도 공급 일정을 조정 중이다. 노바백스 백신은 공급 기한을 내년 말까지로 조정하고 국산 백신인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백신은 2024년 6월까지 공급하기로 했다.

이 밖에 가이아나와 멕시코에는 각각 모더나 4만회분, 화이자 80만회분의 백신을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향후 백신을 필요로 하는 다른 국가에도 지속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만들어지는 개량 백신이 출시될 경우 신속한 국내 공급을 위해 개발 단계에서부터 제약사들과 협의 중"이라며 "앞으로도 제약사와의 추가적 협의를 포함해 국내·외적으로 백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