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일본 해상자위대 창설 70주년 기념 국제관함식에 우리 군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탐승한 자위함기가 게양된 일본 '이즈모함'을 향해 대함경례를 했다. 사진은 이날 일본 해상자위대 공식 유튜브 채널에 리이브된 '이즈모'함에 게양된 자위함기(왼쪽)와 이즈모함에서 기시다 총리(오른쪽). /사진=일본 해상자위대 공식 유튜브 캡처
우리 해군 군수지원함 '소양함'은 지난 6일 일본 가나가와현 남부 사가미만 일대에서 열린 해상자위대 창설 70주년 기념 국제관함식에 참가했다. 우리 해군에선 1만1000톤급 군수지원함 '소양함'과 장병들이 이날 관함식 해상사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탑승한 다용도 운용모함(경항공모함) '이즈모'함을 향해 '대함경례'를 했다.
해상자위대는 이날 해당 관함식을 유튜브 공식 채널을 통해 생중계했다. 자위대는 생중계에서 이즈모함에 욱일 모양을 사용한 자위함기가 게양돼 있는 장면도 삽입했다.
이와 관련해 그동안 국내에선 우리 해군의 이번 일본 관함식 참가를 놓고 찬반 논란이 계속돼왔다. 해상사열 중 대함 경례시 우리 해군 장병들이 마치 '욱일기'를 향해 경례를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단 이유에서다.
당시 군 당국은 한·일 관계 경색에 따라 군국주의·식민지배 상징으로 최근 부각된 욱일기에 대한 논란과 관련해 "자위함기와 욱일기의 형상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 외무성이 '욱일기 홍보물'에서 자위대가 쓰는 깃발에 대해 '욱일 모양'의 사례라고 소개해왔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은 가중됐다.
이번 일본 관함식에 우리나라 뿐 아니라 미국·영국·프랑스·캐나다·호주·인도·뉴질랜드·말레이시아·싱가포르·인도네시아·태국·파키스탄 등 12개국 해군도 일본 측을 향해 대함 경례를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