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이의신청 심사 결과와 확정 답안이 공개된다. 사진은 지난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수능 출제방향을 설명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는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사진=뉴스1
수능의 시행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29일 오후 5시 홈페이지를 통해 수능의 이의신청 심사 결과와 최종 정답을 함께 공개한다. 앞서 지난 17~21일 오후 6시까지 평가원 홈페이지 '수능 문제 및 정답 이의신청 게시판'에는 총 663건의 이의신청 글이 올라왔다. 이는 지난해 1014건보다 351건 줄어든 규모다.
이 중 영어영역에서 349건의 이의신청이 제기됐다. 시험장 듣기평가 음질 문제로 응시의 불편을 겪었다는 내용이 215건, 영어 23번 문제가 입시학원 문제와 동일하다는 내용이 127건 접수됐다. 논란이 불거진 영어영역 23번 지문은 지난 2020년 미국의 법학자이자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인 캐스 선스타인이 출간한 'Too Much Information'이라는 저서에서 발췌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탐구 영역이 115건으로 두 번째로 많은 이의신청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국어 71건 ▲수학 56건 ▲과학탐구 43건 ▲한국사 15건 ▲제2외국어·한문 11건 ▲직업탐구 3건 등이 뒤를 이었다.
평가원은 이의심사 절차를 거쳐 수험생의 신청이 문항 오류와 관련 없다고 판단하거나 같은 문항에 대해 같은 오류를 제기한 내용은 최종 이의신청 통계에서 제외한다. 이에 지난해 수능에서도 최종 이의신청 건수는 473건으로 줄었다.
평가원이 지난 1994년 수능을 도입한 이후 문제·선지 오류를 인정한 문항은 총 9개다. 지난 2014년 세계지리 8번 문항 역시 평가원은 오류가 없다고 했지만 서울고법은 항소심에서 오류를 인정했다. 이에 교육부가 대법원 상고를 포기하면서 전원 정답 처리됐다. 또 지난 2010학년도 지구과학 I 19번 문항과 지난 2015학년도 생명과학 II 8번 문항과 영어 25번 문항, 지난 2017학년도 한국사 14번 문항도 복수 정답이 인정됐다.
평가원은 출제 오류에 대비해 올해는 출제 기간을 3일 더 늘리고 출제 검토위원의 수도 11명 증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