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PGA 투어가 각종 규정을 변경했다. 사진은 지난달 PLK 퍼시픽링스코리아 챔피언십 우승자 이정민. /사진= KLPGA
지난달 31일 KLPGA 투어는 이사회를 통해 실격 및 기권 시 공식 기록 인정과 상금 구간에 따른 대상 및 신인상 포인트 등의 규정을 조정했다.
우선 올해부터는 KLPGA 주관대회에서 홀인원이나 알바트로스, 이글, 데일리베스트, 코스레코드 등을 달성한 선수가 해당 라운드에서 실격 또는 기권하면 공식 기록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부상도 받을 수 없게 됐다.
KLPGA 투어의 글로벌화를 위해 인터내셔널 퀄리파잉 토너먼트(IQT) 규정도 개정됐다. 차기 시즌 정규투어 KLPGA 챔피언십 대회 유자격 참가였던 IQT 우승자 혜택은 차기 시즌 정규투어 시드로 업그레이드됐다. 2위와 3위를 기록한 선수들이 KLPGA 챔피언십 자격을 얻게 됐다.
우승자를 포함해 3위까지 제공되던 차기 시즌 정규투어 시드순위전 예선 면제 혜택은 8위를 기록한 선수까지 받을 수 있도록 확대됐다. 변경된 IQT 규정은 2023시즌부터 실시 된다. 2023시즌 성적을 바탕으로 2024시즌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KLPGA 투어 대상 포인트 지급 규정. 사진= KLPGA
2024시즌부터는 대상 포인트 배점도 변경된다. KLPGA는 총상금 규모 3억이상~4억 미만 4억 이상~6억 미만 6억 이상~8억 미만 8억 이상~10억 미만 10억 이상 메이저 대회 등 6개 구간으로 나눠 대상포인트를 차등지급했다.
상금 구간에 변화가 생겼다. KLPGA 투어 상금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면서 8억 미만 8억 이상~10억 미만 10억 이상 12억 미만 12억 이상~15억 미만 15억 이상 메이저 대회 등으로 구간이 상향 조정됐다.
특히 메이저 대회의 우승자에게 돌아가는 대상 포인트가 가장 높아진다. 10억 이상 규모의 대회와 동일한 70점이었는데 100점으로 올랐다. 15억 이상 대회 우승자는 90점을 받는다. 이는 메이저 대회의 상징성을 강화한다는 측면이 높다.
신인상 포인트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되 상금 구간만 대상 포인트와 같게 변경했다.
KLPGA는 "시대의 흐름에 맞도록 각종 규정을 변경했다"면서 "투어 기반 강화와 경쟁력 극대화, 투어 글로벌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