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 휩싸인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는 12일까지 진행하려던 검찰 수사 규탄 시위를 하루 만에 중단했다. 사진은 지난 7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자진 출석한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뉴시스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에 휩싸인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검찰 수사를 규탄하는 1인 시위를 약 4시간 만에 중단했다.
송 전 대표는 지난 7일 서울중앙지검에 자진 출석했으나 검찰로부터 조사와 면담을 모두 거부당했다. 송 전 대표는 지난달 2일에도 검찰에 자진 출석했지만 조사가 불발된 바 있다.

이에 송 전 대표는 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은 2년 전 9400만원 피의사실을 가지고 강래구 구속에 이어 현역 국회의원 2명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며 "명확한 증거도 없이 위법 수집된 녹취록 증거만을 가지고 어설프게 그림을 그리고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을 이간질하 국회의원들 구속영장을 청구할 게 아니라 송영길을 소환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라"고 촉구했다. 이후 송 전 대표는 검찰 청사 앞으로 이동해 '선택적 수사 하지 말고 주가조작 녹취록 김건희도 소환조사하라', '무고한 사람들 그만 괴롭히고 검찰은 송영길을 소환하십시오'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약 4시간 동안 1인 시위를 진행했다.

당초 송 전 대표는 윤관석·이성만 무소속 의원의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이 예정된 오는 12일까지 1인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각에서 민주당에 체포동의안 부결을 압박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자 하루만에 1인 시위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송 전 대표 측 관계자는 "검찰의 정치 수사와 강압 수사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시위를 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회의 체포동의안 부결을 압박하는 것으로 읽혔다"며 "내부 회의 결과 1인 시위를 끝내는 게 좋겠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