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해파리와 응급대처법 홍보물./사진=전남도
8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역 내 해역에 해파리 특보 발령 시 어업인, 도, 해양수산과학원, 시군 담당공무원으로 구성된 민·관 모니터링 요원 86명이 주 2회 이상 해파리 예찰활동을 펼치며 해파리가 대량 발생하면 어업피해 최소화를 위한 해파리 제거와 수매사업을 동시에 실시할 예정이다.
해파리 주의단계 특보 발령 기준은 100㎡당 보름달물해파리 5마리 또는 노무라입깃은 1마리 이상 나타나는 경우다. 이는 축구장 면적(7140㎡)으로 환산할 경우 경기장 한 개 안에 보름달물해파리 355마리, 노무라입깃해파리 71마리가 출현하는 정도다.
지난달 국립수산과학원은 해파리 출현 현황을 분석, 어선어업에 피해를 주는 보름달물해파리는 6월 초·중순부터 해파리 주의보 기준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표적인 독성 해파리인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동중국해에서 1㏊당 평균 10마리로 지난해보다 80% 줄었으나 성장은 빠를 것으로 전망했다.
박영채 도 수산자원과장은 "해파리 피해예방 활동을 통해 어업인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총력을 다하겠다"며 "도민들께서도 해파리를 발견하는 즉시 신고하는 등 피해 예방에 동참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해파리의 효율적 제거를 위해 여수, 고흥, 장흥 등 6개 시군에 예산 5억3000만원을 신속하게 배정해 해파리 제거 장비 구입과 임차 어선 사전 확보 등 해파리 구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