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염 환자는 오래 서 있거나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전후에 수시로 발바닥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 사진은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이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근막은 우리 몸의 근육을 감싸고 있는 막으로 족저근막은 발바닥의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두꺼운 막을 말한다. 족저근막은 발꿈치뼈에서 시작해 발가락뼈까지 이어져있는데 발바닥의 아치를 만들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해 보행에 도움을 준다.
족저근막염 환자는 아침에 처음 일어나서 걸을 때나 오랜 기간 앉았다가 일어설 때 통증을 크게 느끼며 오히려 걷다보면 통증이 완화된 느낌을 받는다. 하지만 오래 걷거나 뛰면 다시 통증이 심해진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족저근막염 환자는 27만1850명으로 2012년 13만8583명의 약 2배 수준이다. 이 중 남성이 11만5000명, 여성이 15만6000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1.36배 많았다.
족저근막염의 주요 원인은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족저근막의 스트레스다. 과격한 운동을 하거나 중년, 과체중인 경우 발병률이 높아진다. 평소 딱딱하거나 얇은 밑창의 신발을 신을 때에도 생길 수 있다. 발의 아치가 낮거나 없는 편평족, 반대로 아치가 높은 요족 등 발 구조적 원인도 족저근막염을 유발한다.
족저근막염은 활동을 조절하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했음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 통증이 심한 족저근막 일부를 절제하거나 늘리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통증이 심하다면 소염진통제를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니다.
족저근막염의 증상 완화와 사전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습관의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평소 발바닥 부위에 쿠션이 있는 편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오래 서 있거나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전후에 수시로 발바닥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 이 외에도 발바닥 근육 강화 운동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박영환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우리의 발은 매일 사용하는 만큼 한번 증상이 유발되면 일상생활에 바로 영향을 주고 삶의 질도 떨어뜨릴 수 있다"며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제때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적절한 체중 유지와 과도하지 않은 운동, 편안한 신발 착용 등 생활습관을 평소에 관리하면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