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에는 자동차도 명절 증후군에 걸릴 수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전문가들은 운전자와 자동차의 명절 증후군을 피하려면 '급출발·급제동·급핸들' 등의 '급'한 행동을 삼갈 것을 권했다. 이 같은 운전법은 차에 무리를 주고 운전자도 더 예민하게 차를 몰 수밖에 없어 쉽게 지칠 수 있어서다.
평소 출퇴근으로 짧은 거리를 오가는 시내주행이 많았다면 장거리주행 시 여러 문제점이 생길 수 있어 출발 전후 차 상태를 살피는 게 도움이 된다. 특히 시동을 건 뒤 차 주변을 돌며 타이어 상태를 살피면 엔진 예열 시간을 벌면서도 타이어 점검도 가능하니 일석이조다.
만약 타이어 옆면에 혹이 난 것처럼 툭 튀어나온 곳이 있다면 이는 '코드절상'에 해당하므로 즉시 정비소를 방문, 타이어를 교체하는 게 좋다. 고속주행 중 충격을 받으면 타이어가 터질 수 있다.
고속도로에서는 휴게소에 도착하자마자 시동을 끄는 행동은 차에 무리를 준다. 휴게소 진입 전이나 목적지 도착 전에는 여유를 갖고 속도를 줄이는 게 좋다. 특히 휴게소 진입 전이면 갑자기 좁아지는 진입로에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엔진과 브레이크를 함께 충분히 식힐 수 있다.
장거리 운행 뒤 차에서 평소와 다른 소리나 냄새, 진동이 느껴지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는 게 좋다. 엔진오일이나 냉각수(부동액) 등 액체류가 새거나 배선이 타면서 냄새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서다. 냉각수 양이나 엔진오일 양이 부족하면 엔진이 쉽게 뜨거워지고 소음도 커진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장거리 주행 시엔 2시간 마다 한 번씩 쉬어가는 게 차와 사람 모두에게 좋다"며 "특히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있다 보면 근골격계에 부담을 주는 만큼 편안한 옷과 신발은 기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