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가 중국 육상 선수 간 포옹하는 사진을 게시했다가 '6.4천안문 사태'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돌연 삭제해 논란을 빚고 있다. 지난 1일(현지시각) 여자 100m 허들 결승에 참가한 중국 린위웨이와 우옌니가 포옹하는 과정에서 6·4를 연상케 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중국 관영 CCTV가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 자국 육상 선수들끼리 포옹하는 사진을 게시했다가 '6.4천안문 사태'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돌연 삭제해 논란을 빚고 있다.
지난 4일(이하 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중국 CCTV는 지난 1일 열린 여자 100m 허들 결승에서 6번 레인 린위웨이와 4번 레인 우옌니가 경기 후 포옹하는 사진을 웨이보에 올렸으나 약 1시간 뒤 해당 사진을 돌연 삭제했다. 두 선수의 레인 번호가 1989년 발생한 천안문 사태를 우연히 연상시켰기 때문이다.

1위를 차지한 린위에이는 결승전 직후 2위로 통과한 우옌니를 껴안았다. 그 과정에서 린위웨이의 유니폼에 부착된 숫자 6과 우옌니의 4가 나란히 배치되면서 6·4를 연상케 했다. 6과 4는 각각 두 선수의 레인번호를 나타내는 숫자다.


천안문 사태는 1989년 6월 4일 천안문 광장 등지에서 중국 인민이 전개한 민주화 시위를 중국 당국이 유혈 진압한 사건이다. 자행된 날짜를 따서 6·4사태 혹은 6·4천안문 사태 등으로 부른다. 중국에서는 현재까지도 6·4라는 숫자를 공공연히 검열하고 있다.

두 선수의 감격스러운 순간을 담은 사진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CCTV는 약 1시간 만에 게시물을 삭제했다. CNN은 해당 사진을 중국 검색엔진 바이두에서도 찾을 수 없으며 지난 2일 신화통신의 기사에 같은 사진이 올라왔지만 숫자가 잘려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경기가 중국 국경일인 10월1일에 열린 만큼 더욱 엄격히 통제·검열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