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의 호황이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그래픽=이미지투데이
5일 보험연구원은 '2024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세미나를 열고 내년 수입보험료가 올해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2024년 경제·금융환경 전망'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맡은 윤성훈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년 국내외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저금리·저물가'의 'New Normal' 시대와 다른 '더 낮은 저성장·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와 물가'의 새로운 균형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 예상되나 우리나라 경제는 소비 리밸런싱 마무리에 따른 재화 소비와 수출, 설비투자 소폭 증가로 다소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우리나라 경제는 소폭 개선 전망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충격 이전의 균형보다 더 낮은 저성장으로 새로운 균형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윤 선임연구위원은 "내년은 고물가·고금리로 인해 가계의 초과저축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보험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뒤를 이어 '2024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 조영현 금융시장분석실 실장은 내년 보험산업 수입보험료가 올해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명보험은 0.6%, 손해보험 4.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수입보험료가 저축성보험의 실적 둔화에도 보장성보험과 퇴직연금의 확대 등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기간 초회보험료는 저축성보험 중심으로 감소세 지속이 예상되나 감소폭은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험계약마진(CSM) 성장세 지속으로 보험이익은 증가하나, 투자이익의 변동성은 높을 것이며 건전성과 자산리스크 관리를 더욱 강화할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생명보험의 CSM 규모는 올해 61조9000억원 수준에서 내년 69조9000조원이 될 것으로 추정됐고, 손해보험의 CSM 규모는 올해 64조6000억원에서 내년 67조9000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조 금융시장분석실장은 "높은 CSM 성장률로 인해 보험이익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투자이익의 변동성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건전성이 낮은 회사들은 이익의 내부 유보를 극대화하고 자산리스크 관리를 더욱 강화가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보험연구원은 "신계약 CSM 확보를 위한 경쟁 심화로 보험산업의 불균형 성장과 소비자신뢰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험시장의 정보비대칭성 완화, 보험사의 신사업 확대 등이 필요하다"며 "보험산업은 신채널 등장, 디지털 전환, 보험법률 개정과 같은 현안 이슈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