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범죄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보험 가입률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이미지투데이
11일 보험연구원의 '개인의 사이버 범죄 노출과 보장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는 2014년 11만여건에서 2022년 23만여건으로 8년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에 비대면 활동이 늘어난 2020년에는 23만4000여건까지 증가했다. 2021년엔 21만8000여건으로 전년 대비 줄었지만 2022년엔 22만건을 초과했다.
기업보다 개인을 노린 범죄가 지속해서 늘면서 피해가 확산되는 추세다. 사이버범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이버사기(67.6%), 사이버 명예훼손·모욕(12.7%), 사이버 금융범죄(12.4%) 등은 대부분 개인을 겨냥했다. 한국정보통신보안윤리학에 따르면 사이버 피해 규모는 기업 6956억원, 개인 9834억원으로 추정됐다.
개인의 피해 규모가 더 크지만 관련 보험에는 가입하지 않아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개인용 사이버보험을 판매 중인 보험사는 단독 상품 5개사, 선택 특약 5개사 가량으로 파악됐다.
대부분의 상품이나 특약에 인터넷 쇼핑몰·직거래 사기 및 사이버 금융사기(보이스피싱 등) 보장이 포함돼 있다. 일부 보험사는 사이버 명예훼손과 저작권 위반으로 인한 배상책임 및 법률보험이나 개인정보유출 피해를 보상하기도 한다.
단독상품 판매 실적은 연간 수백건에서 수천건일 정도로 미미하다. 담보별 보장 규모도 자기부담금 10~30%를 제외하고 100만~500만원 한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개인이 보험 가입에 소극적인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단체보험 형태로 보험 가입을 유도해 위험을 보장할 수 있다.
여행사가 자사의 단체여행 고객을 여행자보험에 무료로 가입시키거나 스키장에서 시즌권 구입 고객에게 상해보험을 저렴하게 가입하도록 유도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개인은 사이버 리스크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아 보험 가입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고 보험사는 수익성 때문에 홍보와 판매에 적극적이지 않다"며 "보험회사 입장에서도 단체보험은 개인 계약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관리가 편리하다는 점에서 유리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