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가격업소에서 1만원 이상 카드 결제를 하면 1회당 2000원이 할인된다./사진=이미지투데이
행정안전부와 금융감독원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내 9개 카드사(신한·롯데·비씨·삼성·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 여신금융협회, 새마을금고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와 함께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날 13개 기관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는 데 뜻을 함께하고 착한가격업소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우선 착한가격업소에서 국내 9개 카드사 카드로 1만원 이상 카드결제하면 1회당 2000원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다만 월별 할인 혜택 제공횟수는 카드사별로 다를 수 있다. 카드사들은 2월 중 관련 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지난해에는 신한카드로 결제하는 경우에만 혜택이 제공됐지만 이번에는 업무협약을 통해 신한, 롯데, 비씨, 삼성, 우리, 하나, 현대, KB국민, NH농협 등 국내 9개 카드사로 지원 대상이 확대됐다.
카드사들은 오는 2월 이후 캐시백, 청구할인, 포인트 제공 등 다양한 형태로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카드사별 홈페이지·앱 등을 통해 착한가격업소 홍보도 지원할 예정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착한가격업소 24개 업소에 1개 업소당 400만원 한도로 간판·집기 비품 교체 및 수리 등을 지원하며 소상공인연합회는 사업 활성화를 위한 홍보 및 신규 가맹점 발굴을 지원한다.
이에 행안부와 금감원, 여신금융협회는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를 위해 기관 간 협력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등 행정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와 관련기관들은 민간 배달플랫폼을 통한 착한가격업소 메뉴 배달 시 할인쿠폰 발급 등 배달료를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민간플랫폼의 위치 기반 서비스와 연계해 이용자가 착한가격업소 운영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착한가격업소는 사업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조를 바탕으로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가 2011년부터 지정·운영해 온 제도다. 주변 상권 대비 저렴한 가격, 위생·청결, 공공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물가 상승세 등이 완만히 둔화되고 있으나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며 "행안부가 중심이 돼 추진하고 있는 착한가격업소 제도는 우수 지역상점을 지원하면서도 국민들의 물가 부담을 완화해 온 뜻깊은 정책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카드업계는 착한가격업소 이용자에 대한 카드 혜택 지원, 가맹점 매출 현황 및 이용고객 분석 서비스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상점 이용에 활력을 불어넣을 뿐 아니라 자영업 사장님들의 경영 어려움 완화에도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오늘 협약을 계기로 카드업계와 지역가맹점이 상생하며 함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