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후 전공의 집단사직과 의대생 동맹휴학이 이어진 가운데 27일 열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대학원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스1
3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최근 성명을 통해 "오는 4일까지는 제출할 수 없다는 것이 대한민국 인적자원을 배출하는 대학 총장으로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답변"이라고 밝혔다. 이번 성명에는 전국 40개 중 33개 의대 교수협의회와 교수평의회가 이름을 올렸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1월 의과대학을 보유한 40개 대학을 통해 2025학년도 의대생 정원 증원 희망 수요조사를 실시했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2025학년도 2000명 증원을 추진하기로 결정했으나 전공의들 반발에 직면했다.
전의교협은 "의대 정원 수요는 학생 교육을 위한 대학의 교육역량 평가, 의대 교수들의 의견 수렴 등 절차가 요구된다"면서 "지난해 각 대학에서 제출한 수요조사 결과는 이런 필수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책의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의료계와 충분한 협의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시간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대학 총장들이 교육부에 수요를 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전의교협은 "교육부에서 정한 시한까지 필수적 절차를 밟을 시간도 없다"며 "단편적으로 결정된 의사 인력을 증원하려는 정부 정책에 동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대한민국 미래 발전에 걸림돌이 되게 했다는 원성을 듣는 총장이 되지 않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