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YMCA의 텀블러 시험 결과 보냉기능은 써모스 텀블러가 1위, 스타벅스 텀블러가 3위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 카페에서 시민이 텀블러를 고르고 있다. /사진=뉴스1
6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서울YMCA가 시중에서 판매되는 텀블러 13개 제품을 분석한 결과 텀블러의 유형과 디자인에 따라 보온·보냉 성능이 다르게 나타났다.
서울YMCA는 최근 기후위기 대응 실천방법으로 텀블러 사용이 늘어나자 각 브랜드의 주요 품질과 성능, 사용 편의성, 환경성 등을 시험·평가해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시험은 최근 3개월 내 텀블러를 이용한 20대 이상 성인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8개 브랜드 제품을 선별해 진행됐다. 시험대상 제품은 총 13개로 글라스락, 락앤락, 스타벅스, 블루보틀, 투썸플레이스, 할리스, 스탠리, 써모스 등이었다. 용량은 450~500ml 제품을 기준으로 했다.
시험 결과 보온·보냉 성능, 사용 편의성은 제품 형태별(준밀폐형, 밀폐형),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시험대상 제품 모두 안전성 및 표시기준을 준수했으며 스테인리스 제조 시 사용되는 연마제도 세척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시중에 판매되는 텀블러들의 보온·보냉 성능이 모두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서울YMCA
시험 결과 13개 제품 중 보온은 ▲써모스 캐리 루프 텀블러 ▲블루보틀 데이오프 텀블러 ▲할리스 레더 스트랩 텀블러 순으로 성능이 뛰어났다. 보냉은 ▲ 써모스 캐리 루프 텀블러 ▲투썸플레이스 투썸SS 멀티텀블러 ▲스타벅스 블랙앤골드 스탠리 보온병 등이 오랫동안 시원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품 유형별로는 완전밀폐되고 입구가 좁은 밀폐형이 준밀폐형보다 보온·보냉 성능이 좋았다.
특히 밀폐형 제품 간 온도 성능 차이는 최대 17.3도로 꽤 차이가 컸다. 반대로 준밀폐형은 입구가 넓고 음용구가 있어 보온 성능은 낮았지만 제품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평소 텀블러를 사용하면 플라스틱 컵을 쓸 때보다 탄소배출량이 16.5배, 종이컵보다 12.9배 적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