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폐암 환자를 중심으로 임파선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논문 결과를 공개했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대표적으로 수술 전 영상 검사에서는 임파선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으나 수술장에서 절제한 임파선 검체에서 암세포가 확인되는 경우가 있다. 숨어있는 임파선 전이로 전체 수술받는 환자들의 5~10%에서 확인된다.
윤동욱 중앙대병원 심장혈관 흉부외과·최수환 한양대구리병원·조종호 삼성서울병원 교수 연구팀은 숨어있는 임파선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를 최근 국제저널에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3~2017년 수술 전 CT(컴퓨터단층촬영)와 PET-CT(양전자 단층촬영)영상 검사에서 임파선 전이가 없는 2cm 이하의 초기 폐암 환자 중 폐 절제 수술을 받은 1329명을 대상으로 간유리 음영을 포함한 종양을 가지고 있던 환자 591명과 순수 고형으로 보이는 종양을 가지고 있던 환자 738명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CT 영상에서 보이는 종양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서 숨어있는 임파선 전이가 확인되는 비율이 다른 것을 확인했다.
CT 영상에서 폐 일부분이 유리 표면을 사포로 문질러 불투명해진 유리처럼 뿌옇게 보이는 간유리 음영을 포함한 종양을 가진 환자들에게서는 크기와 상관없이 약 2%의 확률로 수술 검체에서 숨어있는 임파선 전이가 확인됐다.
결절 전체가 불투명해 내부에 폐 조직이 완전히 보이지 않는 순수 고형 형태로 보이는 종양을 가진 환자들은 그 크기가 클수록 수술 후 임파선 전이가 확인되는 확률이 높아졌다. 1cm 이하에서 2.46%이던 확률이 1.0~1.5cm에서는 12.46%, 1.5~2.0cm에서는 21.31%까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됐다.
순수 고형 형태의 암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5년 무병 생존율은 71.2%로 간유리 음영 환자들의 생존율 94.4%에 비해 나쁜 예후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1cm 이상의 작은 크기의 폐암이라도 순수 고형 형태의 암인 경우에는 폐 절제 수술 중 반드시 임파선 박리 절제를 함께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윤 교수는 "2cm 이하의 작은 종양을 가진 환자들이라 하더라도 숨어있는 임파선 전이가 확인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순수 고형 형태로 보이는 암 환자들에게서 특히 많았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순수 고형 형태로 보이는 암 환자들은 수술 전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임파선 검사 등의 시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 연구는 앞으로 순수 고형 형태의 폐암 환자들의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 그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