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스왑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제37회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EVS37)의 24일 개막을 앞두고 지난 17일 마련된 기자간담회에서도 이와 관련된 질문이 나왔다. "중국은 하는데 한국은 왜 하지 않느냐"는 것. 이에 전문가들은 "분야에 따라 다르다"고 답했다.
선우명호 EVS37 대회장 겸 세계전기자동차협회장(고려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석좌교수)은 "배터리스와핑(전기차 배터리교환 방식)은 장단점이 분명하다"며 "승용차의 경우 배터리 스와핑이 어려운데 규격을 통일하면 자동차 설계와 디자인에 한계가 생기고 60~80kwh배터리는 300kg 이상이어서 쉽지 않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택시에 적용하면 하루 한 번 이상 교체를 해야 하는데 커넥터의 완결성에 우려가 생긴다"며 "이 경우 침수지역 등에서 심각한 문제가 예상되는 만큼 적용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니오는 배터리 스왑 시스템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하지만 다른 분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봤다. 그는 "전기 트램이라던지, 농기계 등 침수 우려가 낮은 구조를 지닌 운송수단이라면 충분히 활용가치가 있다"고 했다.
업계에서도 배터리 교체 방식을 반기지 않는다. 배터리에 대한 품질 검증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교체형이라면 규격화를 전제로 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기술 노하우가 유출될 수 있고 설계 자유도가 떨어진다.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던 배터리를 내 차에 끼워야 하는데 완결한 상태라는 보증이 없다"며 "충격을 받았을 수도 있어서 화재 우려가 있고 나쁜 습관의 운전자가 사용했다면 성능 저하도 우려도 있어서 소비자가 이 방식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결정적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에 차가 몰리면 충전하는 시간보다 교체시간이 더 걸릴 수 있는 한계도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