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헨 골러 BMW그룹 부회장이 한국을 찾아 연구개발 관련 비전을 소개했다. /사진=임한별 기자
  요헨 골러 BMW 그룹 고객·브랜드·세일즈 부회장은 22일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 개소식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미래차 전환기를 맞아 한국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한 것.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는 총 50여명의 인력이 상주하며 국내에 수입되는 차종의 인증과 제품 개발 업무를 지원하는 동시에 국내 기업, 연구시설 및 대학들과 협력해 내비게이션, 음성인식, UI 프로토타입 등을 함께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는 2015년 인천 BMW 드라이빙 센터 내에 처음 문을 연 BMW 그룹 차원의 연구개발 시설로 청라로 자리를 옮겨 새롭게 문을 열었다. 새로운 시설에 대한 내용은 2019년 한국을 방문한 BMW 그룹 본사 주요 임원들이 발표를 통해 소개됐다.
BMW 그룹 R&D 센터 코리아 /사진=임한별 기자
  BMW 그룹은 전 세계에 12개 R&D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유럽을 제외하면 한국이 5번째다. 다니엘 보트거 BMW그룹 완성차 연구개발 총괄 부사장은 "더 나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시설이 필요했고 2023년 현재 이 부지를 찾았는데 테크 오피스까지 함께 만드는 데 '한국의 속도'로 1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며 "이 공간은 미래를 위해서 더욱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곳에서 배터리 전기차와 충전에 대한 테스트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외 다양한 충전기를 테스트할 수 있는 시설도 설치됐다. /사진=박찬규 기자
  테크 오피스는 다양한 협업을 위한 공간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중요한 만큼 한국 업체로부터 관련 부품을 공급받는다. 앞으로 대학과 스타트업, 여러 한국 기업들과 함께 테크 오피스에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다니엘 보트거 BMW그룹 부사장이 시설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다니엘 보트거 부사장은 "차에 적용된 기능들은 한국에서 100만km의 테스트 주행을 거쳤다"며 "앞으로 수소연료전지차도 이곳에서 테스트할 것이고 실제 운전이 어려운 여러 프로토타입은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