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을 이틀 앞둔 3일 오후 제4회 부산 봄꽃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시민공원을 찾은 어린이들이 꽃터널을 지나며 환하게 웃고 있다./사진=뉴스1
5일 펀드평가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출시된 어린이펀드 22개의 1년 평균 수익률은 14.86%로 집계됐다. 이는 원자재펀드(10.98%) 삼성그룹펀드(7.61%) 등의 수익률을 앞지르는 수준이다.
1999년 국내에 첫 출시된 어린이펀드는 미성년자 가입자에게 특화된 펀드다. 미성년자일 때 투자를 시작해 성년이 된 후 돌려받는 어린이펀드 취지 상 대부분 국내외 우량주 비중이 높다. 장기 투자에 집중하는 어린이펀드 특성 상 시장수익률을 크게 웃도는 성과를 내긴 어렵다. 하지만 단기 수익률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증여 및 절세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어린이펀드는 자녀 명의로 가입하기 때문에 증여 상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미성년 자녀 명의로 가입한 펀드 계좌에 납입한 자금은 10년마다 2000만원씩 세금 없이 증여가 가능하다. 출생 직후 가입하면 만 20세까지 최대 40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
설정액 10억원 이상 펀드 가운데 1년 수익률 기준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상품은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의 '한국밸류10년투자어린이' 펀드다. 수익률은 25.37%다. 이 상품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대표 우량주에 투자한다.
이밖에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우리아이세계로적립식(15.61%) ▲IBK자산운용의 'IBK어린이인덱스'(14.97%) ▲'NH-Amundi아이사랑적립'(14.59%) 등이 좋은 성과를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어린이 펀드가 안정적으로 높은 수익을 내는 만큼 장기 투자처로 삼을 만하다고 조언한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고수익을 바라는 투자자라면 굳이 어린이펀드에 관심을 둘 필요가 없다"면서도 "어린이펀드는 절세 혜택과 함께 안정적인 수익률, 자녀 금융 교육 기회 제공 등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