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5대 패밀리 그룹의 자산총액이 1987년 28조7620억원에서 지난해 1880조8180억원으로 6439.2% 증가했다. / 사진=뉴시스
2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대기업집단 지정제도가 도입된 1987년 이후 35년간 오너가 있는 자산순위 상위 5대 그룹의 자산총액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87년 28조7620억원에서 지난해 1880조8180억원으로 6439.2% 증가했다.
같은 기간 GDP는 121조6980억원에서 2236조3290억원으로 1737.6%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상위 5대 패밀리 그룹의 자산총액 증가율이 3.7배 더 많은 것이다.
상위 30대 패밀리 그룹 자산총액은 66조5260억원에서 2548조9880억원으로 3731.6% 증가했다.
상위 5대 그룹의 자산 집중화 현상은 1987년에서 1997년 폭발적으로 성장한 이후 지속해서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1987년 상위 30대 패밀리 그룹에서 차지하는 5대 그룹의 자산 비중은 43.2%였으나 1995년 50%를 넘겼으며 2001년과 2002년을 제외하고 계속 증가해 지난해 73.8%로 30.6%포인트 늘었다.
5대그룹 자산총액이 국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87년 23.6%에서 지난해 84.1%로 치솟았다.
지난 35년간 5대 그룹 중 자산총액 기준 가장 덩치를 키운 그룹은 SK그룹으로 1987년 2조816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334조3600억원으로 11773.6% 급증했다. 재계 순위도 7위에서 2위로 뛰었다.
이어 범삼성그룹이 1987년 자산총액 6조7660억원에서 지난해 674조960억원으로 9863.0% 늘었다. 지난해 범삼성그룹의 자산총액은 처음으로 600조원을 넘겼고 30대 그룹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6.4%를 차지했다. GDP와의 상대적인 비중에서도 처음으로 30.1%에 달했다.
범롯데그룹은 1987년 2조1250억원에서 지난해 135조2580억원으로 6265.1% 증가해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범현대그룹은 같은 기간 10조580억원에서 435조550억원으로 4225.5% 늘어 4위를 기록했다.
범LG그룹은 1987년 6조9970억원이던 자산총액이 지난해 302조490억원으로 4216.8% 증가해 5위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