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기 롯데칠성음료 대표가 '새로' 등 제로슈거 소주를 앞세워 해외 진출에 힘쓰고 있다. /사진=롯데칠성음료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롯데칠성음료는 매출 3조224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2조원대에 진입한 지 12년 만에 3조원을 넘어섰다. 박 대표는 이 여세를 몰아 4조 클럽 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30년 롯데맨'인 박 대표는 1994년 롯데칠성음료 판촉부에 입사했고 2020년 말 대표이사 자리에 올랐다. 박 대표 선임 이후 롯데칠성음료는 2022년 9월 제로 소주 '새로'를 출시했다. 출시 3개월 동안 집계된 새로의 2022년 시장 점유율은 약 1%였다. 그런 새로는 지난해 점유율 7.9%, 매출액 1256억원을 달성하며 소주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다. 올해는 매출 16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한류 열풍으로 K푸드 수요가 증가하자 새로와 크러시 등 새 주류를 앞세워 미국·중국·일본 등 해외 공략에 힘쓰고 있다. 롯데칠성음료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7167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22% 수준이다. 2026년까지 사업·판매 법인 매출과 수출 실적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글로벌 주류기업 미국 E&J 갤로와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으로 미국 로컬 시장 내 '처음처럼' '새로' '순하리' 등의 판매 지원을 받아 현지 소주 유통 역량 강화에 한발 다가섰다. 올해에도 현지 유통사 협업을 늘리고 대형 바이어를 영입해 로컬 채널 입점을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박 대표는 제로슈거·칼로리 제품의 인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국내 탄산음료 시장에서 제로 탄산음료 비중은 약 30%인데 앞으로 40%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제로 탄산음료로만 273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약 10% 성장한 3000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의 국내 제로 칼로리 음료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약 49%로 추산된다.
박 대표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올해도 전 세계적으로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세계 경제의 침체 가능성이 지속되고 있고 국내도 인플레이션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금리의 영향으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과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변화된 경영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각 사업 분야에 걸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경영 전략을 실천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