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깃발. /사진=뉴스1
7일 IT업계에 따르면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디지털 아웃룩' 7월호를 통해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 통계를 인용, 올해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전년과 비교해 3.8% 성장한 11억9500만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신흥 시장 중심으로 스마트폰 시장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5세대 이동통신(5G) 스마트폰 전환 수요 증가, 온디바이스 AI 도입 등 변화에 따른 결과다.
1분기에는 AI 폰 첫 출시 등으로 인해 10%대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으나 이 같은 흐름이 점차 잦아들면서 4분기 1% 수준으로 내려갈 전망이다. 올해 분기별 스마트폰 시장 증감률은 1분기 9.7%, 2분기 3.9%, 3분기 1.5%, 4분기 0.7%로 예상된다.
업체별로 보면 AI 폰 시장 선점 효과를 얻은 삼성전자의 선두 자리를 지킬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올해 전년보다 0.2% 상승한 약 2억272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1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반기에도 AI 기능을 강화한 차세대 폴더블폰(접이식 휴대폰)을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을 꾀할 것으로 보인다.
애플은 전년과 견줘 3.9% 감소한 2억800만대를 출하, 점유율도 17.4%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와 서유럽에서의 출하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큰 탓이다.
삼성전자 점유율도 전년보다 0.7%포인트 떨어졌으나 애플은 1.4%포인트로 더 큰 낙폭을 보이며 격차가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애플이 하반기 첫 AI 폰인 아이폰16 출시를 예고한 만큼 실적이 크게 회복할 가능성도 남아있다.
이외에는 중국업체들인 샤오미(13.4%)·트랜션(8.8%)·비보(7.2%) 등이 신흥 시장을 공략하며 3위~5위 자리를 지킬 것으로 분석됐다. 8위인 화웨이도 자체 제작 반도체를 탑재한 5G 스마트폰으로 시장에 복귀하며 두 자릿수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진단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