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4년 2분기 1조57억원의 매출과 12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 하락, 영업이익은 4.2% 증가했다. /사진=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4년 2분기 1조57억원의 매출과 12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 하락, 영업이익은 4.2% 증가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전년 대비 7.8% 하락한 511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면세 채널 매출 하락과 럭셔리 브랜드 판매 부진 등으로 국내 매출이 하락했다. 마케팅 투자 확대 및 데일리뷰티 부문 적자 전환으로 국내 영업이익도 59% 감소했다.
주요 브랜드 중에서는 라네즈, 헤라, 에스트라, 일리윤, 라보에이치 등이 MBS(멀티브랜드숍)와 국내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선전했다. 라네즈는 네오 라인의 '바오패밀리 리미티드 에디션' 출시 등 마케팅 활동을 통해 MBS와 국내 이커머스에서 판매 호조를 나타냈다.
2분기 해외 사업은 중화권 부진에도 미주와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기타 아시아 지역의 선전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381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코스알엑스 실적 편입 효과 등으로 영업이익도 흑자 전환했다.
중국 법인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와 안정적 성장을 위해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e커머스 채널 재고 조정 및 오프라인 매장 효율화 영향으로 매출이 44% 감소하고 영업이익도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미주 지역과 EMEA 지역에서 매출이 각각 65%, 182% 증가했다. 전체 사업 중 미주 및 EMEA 지역에서 발생하는 매출 비중이 17.6%까지 상승했다. 미주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코스알엑스의 실적 편입 효과도 더해졌다. 코스알엑스의 '스네일 뮤신 에센스'는 아마존에서 판매 1위를 지켜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글로벌 리밸런싱을 위해 성장 잠재력이 큰 미국, 일본, 영국, 인도 등을 글로벌 거점 시장으로 설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며 "중국 시장의 질적 성장을 이뤄내기 위해 중국 사업의 구조 재편과 경쟁력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더마, 선 케어, 헤어 케어와 같은 핵심 카테고리의 재설정 및 유통 채널의 최적화 등 집중해야 할 사업 영역의 재정의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해나갈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