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비아파트 공급 위축 대응을 위해 '단기등록임대' 제도 부활에 나섰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스1
14일 업계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비아파트 공급 활성화를 위해 '6년 단기등록임대' 재도입을 추진한다.
정부의 이 같은 계획은 비아파트의 실질적 매수 주체인 다주택 임대 수요를 되살리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비아파트 공급 요인을 촉진하고 민간 임대 물량을 추가 확보해 서민 주거 안정을 도모할 방침이다.
올 상반기 전국의 비아파트 인허가 및 착공 물량은 각각 1만8000가구, 1만7000가구에 그쳤다. 2020년 153만2547가구였던 등록임대주택은 지난해 143만6431가구로 6.7%(9만6116가구) 줄었다.
신규 등록임대 물량도 ▲2020년 28만853가구 ▲2021년 18만9151가구 ▲2022년 13만1660가구 등 해마다 감소세다.
정부가 추진하는 이번 단기등록임대 재도입은 국회법 개정 사안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의원(국민의힘·대구 서구)은 이 같은 내용의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상태다.
다만 임대인들이 정부 계획에 반응할지는 지켜볼 대목이다. 과거 집값 급등기였던 2020년 정부가 4년의 단기임대등록 제도에 대해 다주택자의 투기·세금 회피 수단으로 악용됐다며 폐지한 바 있어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도 시행 뒤 상황을 지켜보고 임대인들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방안이 없을지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