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전세가격이 0.0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시중 은행들이 대출규제 고삐를 한층 더 조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당분간 매매가 상승폭이 강보합 수준(0.00~0.02%)에서 제한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31일 부동산R114에에 따르면 8월 마지막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주 연속 0.02% 오르면서 상승폭을 유지했다.
일반아파트가 0.02% 뛰었고 재건축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0.01%씩 상향 조정됐다. 서울은 동북권 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위주로 오름세가 이어졌다. 각 자치구별로는 ▲중구(0.09%) ▲성북(0.05%) ▲동대문(0.04%) ▲노원(0.04%) ▲동작(0.04%) ▲마포(0.04) 순으로 올랐다.
신도시 상승은 광교가 주도했다. 8월 첫째주 이후 4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진 광교는 수원 이의동 광교자연앤힐스테이트 등에서 500만~1000만원 올라 0.14% 뛰었다.
경기·인천은 ▲수원(0.04%) ▲인천(0.04%) ▲군포(0.03%) ▲화성(0.01%) ▲의왕(0.01%) ▲안양(0.01%) ▲과천(0.01%) 등 경기 남부권을 중심으로 상승했고 의정부는 신곡동 풍림아이원 등이 250만원가량 빠지며 0.01% 떨어졌다.
전세시장은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잠시 숨 고르기가 이어진 가운데 서울은 0.02% 올랐다. 신도시는 보합(0.00%)을 나타냈고 경기·인천은 0.01% 소폭 상승했다.
서울은 외곽의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전셋값 상승폭이 컸다. 주요 자치구별로는 ▲강북(0.08%) ▲은평(0.05%) ▲양천(0.05%) ▲금천(0.05%) ▲구로(0.05%) 등이 올랐다. 신도시는 전 지역이 보합(0.00%)을 기록하며 제한된 가격 움직임을 나타냈다.
경기·인천은 ▲수원(0.10%) ▲군포(0.07%) ▲화성(0.04%) ▲의왕(0.01%) ▲구리(0.01%) ▲광명(0.01%) ▲인천(0.01%) 등이 상승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