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주담대 금리가 1%포인트(p) 가까이 올랐으나 수도권 집값 상승세는 꺾지 못했다. /사진=뉴스1
1일 KB부동산 주간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넷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5% 상승했다. 자치구별로는 금천구(-0.01%)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랐다.
경기도의 아파트 매매가격도 전주 대비 0.08% 상승했다. 평택(-0.04%), 이천(-0.06%), 안성(-0.28%)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경기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주목할 점은 8월 동안 은행들이 주담대 금리를 여러 차례 인상했음에도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지속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8월 중 서울 집값은 전주보다 0.2% 이상씩 상승했으며, 경기도 아파트 가격도 같은 기간 계속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8월 넷째 주에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0.05%로 가장 컸다.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7월 3% 초반이었던 평균 주담대 금리는 8월에 4%대 초반까지 약 1%포인트 상승했다. 그럼에도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8월 내내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주담대 규모도 7월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충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지난 8월27일 은행권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하면서 "8월 주담대 증가액이 6~7월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부동산업계는 9월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등 대출 규제 강화와 은행권의 자체 대출 한도 축소로 인해 '영끌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했다. 9월부터는 주담대를 받을 때 주담대 금리에 스트레스 금리가 추가로 가산돼 대출 한도가 줄어들 예정이다. 은행들은 갭투자 방지를 위해 아파트 매매 시 해당 아파트에 대한 전세대출을 금지하고 신용대출 한도를 대폭 축소할 계획이다.
다만 대출 규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대출 규제로 자금 마련이 어려워지면서 수도권 아파트의 집값 상승세와 거래량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인위적으로 수도권 집값을 잡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