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저우에 있는 알리바바 시시 캠퍼스는 중국 내 가장 큰 규모로 전체 면적이 약 400만㎡다. 이 가운데 알리바바 홀딩스 그룹과 알리익스프레스, 알리바바닷컴 등이 속한 AIDC그룹은 C구역에 자리하고 있다. 지난 4일 오전 9시 C구역 방문객 센터 로비 전경. /사진=황정원 기자
알리바바 직원이 취재팀에 모바일 화면을 보여주며 설명했다. 4일(현지시각) 오전 방문한 알리바바 본사 캠퍼스는 중국이라고 믿어지지 않을 만큼 혁신적인 모습이었다.
지금은 고전이 된 영화 '빽 투 더 퓨쳐' 시리즈에서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은 21세기 첨단 도시를 공원과 연못, 깔끔한 빌딩이 어우러진 자연친화적인 모습으로 표현했다. 당시 대부분의 미디어가 미래 도시를 로봇과 기계가 가득한 회색 풍경으로 묘사했기에 저메키스가 제시한 미래는 문화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알리바바 시시 캠퍼스 C구역 정원 사이로 직원들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황정원 기자
알리바바는 현재 전 세계에 수백 개의 캠퍼스와 사무실을 두고 있다. 취재팀이 찾은 곳은 본사가 위치한 중국 항저우 시시(Xixi) 캠퍼스 C구역이었다.
시시 캠퍼스는 중국 내 가장 큰 규모로 전체 면적이 약 400만㎡에 달한다. 이 가운데 C구역은 올해 5월10일 오픈한 최신 캠퍼스로 알리바바 홀딩스 그룹과 알리익스프레스, 알리바바닷컴 등이 속한 AIDC그룹이 있는 곳이다.
━
'다양성' 살아있는 글로벌 캠퍼스━
알리바바 직원들이 C구역 순환 통로에 마련된 바 테이블에서 노트북을 펴놓고 업무에 열중하고 있다. /사진=황정원 기자
"알리바바 전체 임직원은 20만명 이상이고 이곳 시시 캠퍼스에 근무하는 인원만 4만여명입니다. 그중에서도 C캠퍼스 인원이 3만명 정도 되고요."
직원의 설명이 이어졌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구글 임직원의 수는 약 18만명이다. 직접 마주한 알리바바 캠퍼스의 모습은 구글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알리바바 시시 캠퍼스 C구역 곳곳에는 의자와 테이블이 놓여 있어 카페에 온듯한 느낌을 준다. /사진=황정원 기자
알리서클은 안쪽 면이 정원을 바라보도록 설계했는데 곳곳에 의자와 테이블이 놓여 있어 통로 전체가 휴게실이나 카페 같은 느낌을 준다.
직원들은 컬러풀한 비트라 팬톤 체어에 앉아 휴식을 취하거나 통창 앞에 설치된 바 테이블에서 노트북으로 작업하는 등 각자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
업무 시간에도 산책·운동 자유롭게━
알리바바 시시 캠퍼스 C구역 내 명상 장소. 케이지 모양의 구조물이 아름다워 직원들의 웨딩 촬영 장소로도 인기다. /사진=알리바바
"캠퍼스가 아름다워서 직원들의 웨딩 촬영 장소로도 인기가 있습니다." 취재팀이 풍경에 감탄하자 직원이 새장 모양의 명상 장소를 가리키며 설명했다.
알리익스프레스 라틴아메리카팀에서 3년째 일하고 있는 루아나 보텔류(Luana Botelho)씨는 캠퍼스 조경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점심시간에 A구역 호수를 산책하는 것을 가장 좋아해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풍경이 변하는 모습은 정말 아름답죠. 봄에는 벚꽃이 만발하고 겨울에는 눈 덮인 길이 펼쳐집니다. 오후에 다시 일터로 돌아가기 전에 에너지를 회복할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산책하다 운이 좋다면 로봇경찰을 만날 수 있다. 주요 임무는 위험 상황을 빠르게 감지하고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연결 통로, 소방 통로, 고온 지점 등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곳을 중심으로 순찰한다. 한번 충전으로 5시간 동안 순찰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부족해지면 '충전소'로 돌아가 스스로 충전할 수 있다고 한다.
알리바바 직원이 오전 10시경 캠퍼스 내 헬스장에서 체력 단련을 하고 있다. /사진=황정원 기자
"직원들은 업무 시간 중에도 얼마든지 스포츠센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리프레시하고 다시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직원의 안내를 들으며 발걸음을 옮기는데 실제로 헬스장과 스트레칭실에서 체력단련을 하는 직원을 볼 수 있었다. 시계를 확인하니 오전 10시 무렵이었다.
알리바바는 분기마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캠퍼스 경험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회사 측은 올해 직원 설문 조사에서 업무 환경 만족도가 93.6%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