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실조로 병원을 찾는 국민이 급증하는 가운데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급여 수급자와 고령층에서 영양실조 환자가 크게 늘고 있어 서민들의 생활고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이미지 투데이
지난 24일 뉴스1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광주 북구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제출받은 자료를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는 최근 5년(2019~2024년 상반기)간 건강보험으로 영양실조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6만3274명에 달했다.
2019년부터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하던 2020~2022년을 포함해서 영양실조 환자는 꾸준히 증가했다. 2019년 6245명이던 환자 수는 지난해 2.7배 급증한 1만6634명을 기록했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8540명이 진료를 받아 2019년 한 해의 진료 인원을 훌쩍 넘었다.
의료급여 수급자 중 영양실조 환자도 최근 5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했다.
의료급여 환자는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으로 진료비의 상당 부분을 국가가 부담하고 있다. 의료급여 수급자 중 영양실조 진단받은 수는 2019년 1117명에서 지난해 2408명으로 2.21배 늘었다.
영양실조 환자 중 대부분은 노인층으로 확인되면서 경제위기가 국민들의 생계에 극심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019년 이후 영양실조로 진단받은 환자 1만76명 중에서 60대 이상 노년층의 비율은 85%(8531)에 육박한다. 고물가·고금리 상황에서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영양분을 제대로 섭취 못할 수 없을 만큼 빈곤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고령 의료급여 수급자 영양 관리에 국가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영양실조 환자 증가에 따라 건강보험 재정에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019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영양실조로 인한 건강보험 급여비는 총 120억원을 넘어섰다. 2019년도에는 약 15억6000만원이 소모됐으나 지난해에는 약 30억원이 집행됐다. 재정부담도 2배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진숙 의원은 "지금 서민들은 단순한 생계의 어려움을 넘어 기본적인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조차 힘든 상황에 놓여 있다"며 "모든 국민이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세밀하고 촘촘한 복지 시스템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