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김기수 딥아이(DEEP AI) 대표가 울산 CLX에서 'AI 비파괴 검사 자동 평가 솔루션'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최유빈 기자
지난 24일 SK이노베이션 울산CLX에서 만난 김기수 딥아이(DEEP AI) 대표는 "SK 덕분에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작할 수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울산지역 기업과 상생을 통해 DT(디지털 전환)를 추진하고 있다. 울산CLX는 여의도 면적의 3배 크기로 전체 파이프라인은 약 60만km에 달한다. SK이노베이션은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2016년부터 스마트플랜트 구축에 뛰어들었다.
정유사들이 앞다퉈 스마트플랜트를 구축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울산CLX가 특별한 이유는 중소기업과 협업해 DT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SK이노베이션은 울산 AI기업 딥아이와 협력해 세계 최초로 'AI 비파괴 검사 자동 평가 솔루션'을 개발했다.
김 대표는 "SK가 보유한 4만건의 데이터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긴밀한 협업으로 현장에 꼭 필요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었다"며 "SK와 딥아이의 사업이 대기업과 지역 스타트업 간의 협업에서 아주 우수한 모델이 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SK이노베이션은 초음파로 열교환기를 촬영한 뒤 작업자가 육안으로 결함 여부를 확인해 왔다. 열교환기가 노후되면 균열, 부식, 마모가 자주 발생한다. 이때 누유가 생기면 물질이 섞여 제품이 오염될 뿐 아니라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사전 검사가 필수다. 설비 고장 원인의 약 80%는 열교환기 내 튜브 손상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가 육안으로 결함을 확인해야 했다. 열교환기는 울산CLX에만 7000여개가 있다.
SK이노베이션과 딥아이가 개발한 AI IRIS기술은 초음파로 설비를 촬영한 뒤 AI가 결함을 찾아낸다. 숙련된 기술자의 노하우와 역량으로 결과를 판독하고 진단한다. 이를 통해 검사 속도는 70% 향상되고 비용은 50% 절감할 수 있다. 검사 정확도는 98% 이상이다.
박재한 스마트플랜트추진팀 PM은 "그동안 초음파로 튜브의 부식 상태를 확인하고 사람이 부식이 많은 부분을 찾아내는 작업을 했다"며 "AI를 활용하면 더 빠르고 쉽게 취약 부분을 판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창훈 SK에너지 스마트플랜트추진팀장이 회사의 DT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최유빈 기자
정창훈 스마트플랜트추진팀장은 "SK가 솔루션을 개발해서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업화하는 것은 울산 제조업의 선순환 생태계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라며 "응용 IT 기술력이 뛰어난 대한민국에서 산업 지식 데이터가 집약된 솔루션이 확산한다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생길 것이고 이를 SK가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