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CNN에 따르면 스타십은 이날 오전 7시25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발사됐다. 이번 비행에서 스페이스X는 발사탑의 젓가락 팔(대형 로봇 팔)을 사용해 발사된 슈퍼헤비를 다시 안착시키는 '메카질라'라는 기술을 시도했다.
슈퍼헤비는 발사 약 3분 후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고 발사 약 7분만에 지구로 돌아와 발사탑의 젓가락 팔 사이로 안착하는데 성공했다. 슈퍼헤비의 수직 착륙 과정은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생중계됐다. 스페이스X 직원들은 로봇팔이 슈퍼헤비를 감싸안자 환호성을 터뜨렸다.
메카질라의 성공으로 스페이스X는 슈퍼헤비 부스터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슈퍼헤비 부스터를 재활용하면 스타십 1회당 발사 비용을 200만~300만달러(27~41억원)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
이번 스타십 5차 시범 비행도 순조롭게 진행됐다. 스타십은 약 1시간5분의 비행을 마친 뒤 인도양에 무사히 착수했다. 스타십 시범비행은 우주비행사가 탑승하지 않은 무인 비행이다. 앞서 스페이스X는 성명을 통해 "이번 시범 비행의 목표는 최초로 발사 장소로 돌아와 슈퍼헤비 추진체를 잡고 또 다른 스타십 재진입 및 착륙 연소를 시도해 인도양에서 스타십을 목표 지점에 착수시키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