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새로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40.1%다. /그래픽=김서연 기자
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 변화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새로 취업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40.1%다. 2012년 42.4%에서 소폭 감소한 수치다. 코로나19 이후 고용 유지율이 더 하락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고용 유지율은 2018년과 2019년 약 42%로 다소 회복했으나 2020년에는 39.6%로 떨어졌다. 2021년에는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40.1%에 머물렀다. 이는 신규 취업자 비중이 감소하며 평균 근속기간은 길어졌으나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나아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성별로는 남성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이 42.4%로 여성(37.9%)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46.0%)와 40대(43.8%)의 고용 유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은 편이었다. 학력에 따라 고용 유지율도 차이를 보여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안정성이 떨어졌다.
장사랑 한국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고용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는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위한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