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상생협 12차 회의에서 도출한 최종 합의안(최대 수수료 7.8%+배달비 3400원)에 자영업자들 중 열에 아홉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음식점에 붙어있는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 스티커. /사진=뉴스1
15일 업계에 따르면 배달앱 상생협 12차 회의에서 도출한 최종 합의안(최대 수수료 7.8%+배달비 3400원)에 자영업자들 중 열에 아홉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서는 지난 14일 밤 공정한플랫폼을위한사장협회 제안으로 최종 상생안에 대한 긴급 찬반 투표 실시했다. 15일 오전 8시 기준 1107명이 투표에 참여해 ▲반대 975표 88.1% ▲잘 모르겠다 88표 7.9% ▲찬성 44표 4.0% 순의 결과를 보였다.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서 긴급 찬반 투표를 실시한 결과 15일 오전 8시 기준 반대 의견이 88.1%로 나타났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최종 합의안은 수수료 7.8%+배달비 3400원(최대), 현행은 수수료 9.8%+배달비 2900원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비율이 높은 2만원 주문이 들어왔다고 했을 때 현행대로라면 수수료+배달비는1960원+2900원=4860원이다. 조정안으로 계산하면 1560원+3400원=4960원으로 오히려 100원이 인상된다.
현행과 최종 상생안 업주 부담 비용 비교. 주문 비율이 가장 많은 금액대인 2만원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업주 부담이 오히려 커졌다. /그래픽=강지호 기자
이어 "거래액 상위 35%로 가장 높은 수수료와 배달비를 적용받게 될 당사자인 한국외식산업협회,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측이 어제 투표에 참여하지 않고 회의장을 떠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공익위원들도 투표권을 위원장에게 넘기고 현장을 떠났으므로 어제 합의는 사살상 졸속 합의라고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