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력 감소에 따른 응급실 대란 우려가 이어진 가운데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18일 오후 서울 시내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 도착한 구급차에서 환자 보호자와 의료진이 응급실 풀베드 상황에 대기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의대생 수업 거부 사태가 계속되는데다가 의대의 전반적 여건을 개선해야 하는 등 관련 업무가 가중함에 따른 판단으로 보인다.
30일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 관련 업무가 너무 많아져 현재 담당 부서 인력으로는 감당하기 벅찬 수준"이라며 "의대 업무 전담 조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국(局) 신설을 추진하고는 있지만, 아직 결정된 것은 없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의대국 신설과 관련해 행정안전부와 조직개편안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교육부는 의대 관련 업무를 인재정책실 산하 인재정책기획관실, 지역인재정책관실과 나눠 맡고 있다. 인재정책기획관실은 의대 정원 배정과 입시, 신규 의사 배출 등의 업무를, 지역인재정책관실은 의대 교육 여건 개선 등을 담당한다.
의대 증원에 반발해 현재 의대생들은 집단 수업 거부를 계속하고 있다. 앞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 조정 가능성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의료계는 수능을 치른 이후에도 수시 미충원 인원을 정시에서 뽑지 않는 방식으로 의대 정원을 조정하자고 주장했다. 이 부총리는 "수시와 정시가 별개가 아니고 수시 미충원 인원은 정시로 다 이월시켜 왔다"고 했다. 의대생 단체는 내년에도 올해와 같은 '수업 거부 투쟁'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