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한 온라인커뮤니티에는 '서비스 스티커가 기분 나쁜데 제가 이상한가요'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A씨는 "가끔 배달시켜 먹는 카페가 있다. 회사 직원들 주려고 주문한 거라 한 번에 10만원어치 정도 시킨다"며 "이 카페는 리뷰 이벤트를 안 한다. 저도 원래 리뷰 이벤트를 안 한다"라고 운을 뗐다.
문제는 A씨가 시킨 디저트마다 '이건 서비스입니다'라는 스티커가 붙어서 왔다. A씨는 "당연히 서비스도 아니고 내 돈 주고 시킨 것만 정확히 온다. 한 번도 덤을 준 적 없다"며 "늘 시킨 메뉴, 개수 정확하게 보내주는데 언제부턴가 계속 서비스 스티커를 붙여서 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장님 혼자 하는 가게라 착각할 일도 없는데 왜 이러는 걸까. 좋은 게 좋은 거라 하고 넘겨왔는데 매번 이러니까 짜증 난다"며 "서비스 안 줘서 기분 나쁜 게 아니다. 리뷰 이벤트를 안 하는 이유도 맛없어도 별 5개 줘야 할 것 같아서 안 한다"고 분개했다.
결국 A씨는 출근길 해당 가게에 들러 스티커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사장은 "지인이 가게를 접으면서 준 스티커인데 빵이나 디저트 봉투 입구 봉할 때 붙여서 보낸다"며 "뚜껑이 투명이라 심심해 보여 데코용으로 붙인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별 의미도 없었고 지금껏 그걸로 이렇게 찾아와 얘기한 고객이 한명도 없다"고 덧붙였다.
A씨는 "'내 돈 주고 시킨 음식이 서비스 스티커가 붙어있으면 당연히 기분 나쁜 거 아니냐'라고 따지니까 마지못해 '예 예'라고 답했다"며 "내가 리뷰를 쓸까 겁이 났는지 커피 한 잔 준다길래 됐다 하고 나왔다. 앞으로 다른 가게에서 시키려 한다"고 글을 마쳤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나라도 기분 나쁘다" "정당하게 돈 내고 샀는데 가게가 생색내는 것 같아서 싫다" "서비스 스티커 붙어있으면 다들 공짜로 얻은 건 줄 안다" "나도 늘 묘하게 기분 나쁘다고 느꼈다"고 공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