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광교청사 전경. / 사진제공=경기도
지난 3월 열린 제7차 인구톡톡위원회에 참석한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당부였다. 이에 따라 도는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인구, 저출생 정책으로 경기도 '러브아이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러브아이'는 나(I)와 아이(Baby)를 사랑한다는 중의적 표현으로 경기도 저출생 정책 브랜드다.
4일 도에 따르면 도는 인구·저출생 정책의 중장기적 정책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인구정책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난임지원부터 육아시간 확보까지 작지만 확실한 정책을 통해 저출생 극복 지원의 폭을 넓히고 있다.
가족친화 조직문화 확산을 위해 도는 새로운 근무제도인 0.5잡과 0.75잡을 도입했다. '0.5잡'은 일일 근무시간 8시간 중 4시간, '0.75잡'은 6시간을 일하고 나머지 시간은 육아 등에 집중하는 근무형태다. 도는 연말까지 참여 공공기관을 모집하고 내년부터는 경기가족친화기업을 대상으로 운영을 확대할 계획이다. 경기도청에서는 지난 5월부터 '4·6·1 육아응원 근무제'를 시행 중이다.
9월 말 기준 '4·6·1 육아응원근무제'로 임신·육아 공무원이 월평균 모성보호시간 9일, 육아시간 5일의 혜택을 받았으며, 업무를 대행한 직원에게는 80시간당 15만 원 상당의 휴양포인트(임신기), 특별휴가 1일(육아·돌봄기)이 주어질 예정이다.
다자녀가정이 외출할 때 주차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공영주차장 이용 요금 감면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용인 등 10개 시군에서 관련 조례를 개정해 100% 감면에 동참할 예정이다.
도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의 소득 기준과 거주기간 요건, 나이별 차등 지원 등을 폐지해 저출생 극복을 위해 지원의 폭을 넓히고 있다.
11월부터는 가구당 총 25회로 제한됐던 난임시술 지원이 출생아당 25회로 늘어났다.
임산부의 안전하고 행복한 출산을 지원하는 정책도 다양하다. 도에 거주하고 있는 임산부라면 임산부 친환경농산물꾸러미 지원을 통해 월 1~4회 자부담 20%를 납부하고 연 48만 원 상당의 유기농수축산물과 유기가공식품 등을 배송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