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현 소마시 마쓰카와우라 항구 근처에서 어민들이 수산물 선별 작업을 하고 있다. 2023.09.01/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 중국 정부가 이르면 2025년 상반기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3일, 복수의 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리창 총리가 오는 5~6월쯤 일본에서 열릴 전망인 한중일 정상회담에 맞춰 방일 일정을 짜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 쪽에서도 리창 총리 초청을 조율 중이다. 수입 재개 방침을 전하기 가장 유력한 때로 예상된다.
당초 중국은 지난해 8월, 일본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 쌓인 방사능 오염수를 해양 방류하기 시작하자마자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이런 기조는 "국제적 안전기준에 부합한다"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설명이 나온 후에도 유지됐다.
이런 반발에 일본 정부와 IAEA는 지난 9월, 오염수 감시 체제를 확장해 중국도 오염수를 채취해 검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때부터 양국 정부는 중국이 안전 검사를 실시하는 조건으로 수산물을 단계적으로 수입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10월 중순에 오염수 샘플을 채취하고, 자국 내 전문기관에서 분석을 시작했다. 한 달 후에는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페루 리마에서 회담하고 합의를 "착실히 이행할 것"을 확인했다.
양국 정부는 이달 18일, 베이징에서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3차 전문가 대화를 열었다. 중일 관계 소식통은 "중국 측이 말을 꺼내 개최하게 됐다"며 "수입 재개를 위한 출구를 찾으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중국이 "추가 관세를 강화하겠다는 트럼프 차기 미 정권이 오는 1월 출범하는 것을 고려해 일본과 관계 개선을 서두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차기 대통령이 '미국 제일주의'를 내걸고 동맹국에 더 큰 부담을 요구하고 있는 점도 일본과 거리를 좁히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