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이 살아있는 동료 북한군을 미끼로 드론을 격추하는 전술을 쓴다는 주장이 나왔다. 우크라이나 특수부대가 작정 수행 중 북한 병사를 포로로 잡은 모습./사진=뉴스1(텔레그램)
지난 26일 우크라이나 특수전사령부는 SNS에 '정경홍'으로 추정되는 러시아 파병 북한군 시신에서 발견한 메모 1장을 추가적으로 공개했다. 전날에는 그가 '송지명'으로 추정되는 전우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편지를 써 놓고 품에 간직하고 있다가 우크라이나군 공격으로 사망한 인물이라고 소개했었다.
북한군이 살아있는 동료 북한군을 미끼로 드론을 격추하는 전술을 쓴다는 주장이 나왔다.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사망한 북한군 정경홍이 쓴 쪽지./사진=우크라이나 특수전 사령부 페이스북 갈무리
우크라이나군은 "이게 진짜 북한의 전술인지 러시아가 가르쳐 준 것인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하지만 이 전술은 '살아 있는 미끼'를 사용하는 방식"이라고 전했다.
메모에는 포격을 회피하는 전술도 담겼다. 우연히 사격 구역에 들어갔을 경우 다음 만날 지점을 정한 뒤 소그룹으로 나눠 사격 구역을 벗어난다는 것이다. 또 포병이 동일한 지점에 계속 사격하지 않기 때문에 이전에 피격된 지점에 숨으면 안전하게 사격 구역을 벗어날 수 있다고도 쓰여 있었다.
북한은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쿠르스크에 약 1만1000명을 파병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은 투입 초기 우크라이나 자폭 드론에 큰 피해를 입었다. 실제로 북한군이 드론을 보고 피하지 않은 채 뱅글뱅글 돌며 춤추듯 따라다녀 사망하거나 드론을 빤히 쳐다보다가 자폭 공격을 당하는 영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