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인구절벽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출산보조금 등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훈련생들이 지난해 4월9일 중국 중부 후난성 창사시 창사현의 직업 훈련 학교에서 아기 간호 기술을 배우고 있는 모습. /사진=신화통신 캡처
지난 25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지방정부는 저출산·고령화 해결을 위해 독신자 결혼 장려부터 출산보조금, 자녀 양육 세금 감면 혜택 등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의 압박으로 20~30대 기혼 여성에게 전화해 임신 계획을 묻거나 산전 검진을 유도하고 있다. 또 부모들에게 현금을 지원하며 자녀를 두 명 이상 낳도록 장려하고 있다. 저장성 한 주민은 "공무원들이 두 번째 아이를 낳으면 10만위안(약 2000만원)의 보조금을 준다고 말했다"고 했다.
대학교에서는 '결혼과 사랑 교육 과정' 개설을 촉구했다. 소위 '연애 과정' 등을 수강하도록 하는가 하면 국영 매체들은 '출산이 산모 건강에 유익하고 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하고 있다.
런쩌핑 경제학자는 "중국 인구는 고령화, 저출산, 낮은 결혼 비율이라는 세 가지 추세에 직면했다. 아이는 줄고 노인은 늘고 있다. 이런 고령화 속도와 규모는 전례가 없다"고 경고했다.
중국 인구 통계 전문가인 왕펑 교수는 "중국 정부의 출산 장려 캠페인이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젊은 여성들이 출산을 위해 직장을 그만두면 높은 생활비뿐 아니라 심각한 불이익도 겪게 된다"면서 "중국 정부가 역사상 가장 잘 교육된 오늘날의 젊은 세대에게 아이를 낳으라고 설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