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용을 방송에서 보기 싫다는 항의가 빗발치고 있다. /사진=최준용 인스타그램, MBC '기분좋은날' 시청자게시판 캡처
20일 방송가에 따르면, MBC는 지난 15일 최준용이 웃고 떠들며 음식을 먹는 모습이 담긴 프로그램 '기분 좋은 날' 11월11일 방송분을 재방송했다. 15일은 윤 대통령이 체포되던 날이었다.
최준용은 최근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잇따라 참석해 윤 대통령과 계엄을 옹호하는 발언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3일 '탄핵 반대' 집회 연단에 올라서는 계엄이 중단된 것과 관련 "아쉬웠다"고 주장했고, 윤 대통령이 체포된 당일엔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눈물을 흘리며 윤 대통령을 비호하겠다고 선언했다.
최준용 출연 방송이 재방송 되자 '기분좋은날' 시청자 게시판엔 관련 항의 글이 계속 쏟아지고 있다. 시청자들은 "MBC 뉴스에서는 내란수괴. 내란수괴 동조 세력 비판하면서 왜 저런 사람이 MBC에 나오는 건가요" "최준용 씨가 나와서 기분 좋은 날이 아닌 기분 더러운 날이 되었습니다" "계엄을 옹호하는 최준용이 MBC에 왜 나오나요?" "내란 옹호 세력이 방송에?" "내란 옹호 하는 양반이 '기분 좋은 날'이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이유가 있습니까" "글을 안 쓸 수가 없게 만드네요. MBC에서 최준용이라니" 등 비판을 이어갔다.
지난 16일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도 논평을 내고 "12·3 내란을 일으킨 지 43일 만에 '법이 무너졌다'며 끝까지 궤변을 쏟아내고 국민에게 사과 한마디 없이 윤석열 대통령이 체포된 날, MBC는 내란 옹호 연예인 최준용이 웃고 떠들며 음식을 먹는 모습을 버젓이 방송한 것이다. 국민 정서를 심각하게 무시한 무책임한 편성으로 MBC가 공영방송으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준용이 출연한 방송을 검토 없이 재방한 행위는 공영방송으로서의 사명과 사회적 책임을 저버린 처사다. MBC는 최준용 재방 사고와 관련한 명확한 경위를 파악하고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무책임한 편성에 대해 시청자에게 사과하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