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이라 부르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친분이 있다고 밝혀 논란이다./사진=로이터
지난 20일(이하 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난 김 위원장과 매우 친했고 그는 나를 좋아했다. 나도 그를 좋아했고 그가 국제무대로 돌아왔으면 좋겠다"며 "이제 북한은 핵보유국이 됐다. 사람들은 내게 북한이 엄청난 위협이라고 말했지만 김 위원장은 나의 복귀를 반기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명시적으로 인정한 것은 이례적이다. 앞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 지명자도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지칭한 바 있으나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 백악관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정책에 변함이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마찬가지로 역대 미 정부는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자제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과 인도·파키스탄·이스라엘 등의 국가와 같이 '핵보유국'으로 인식한다면 더 이상 제재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한 '빅딜'이 아닌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한 채 미국 본토에 대한 위협을 줄이는 핵동결·군축협상과 같은 '스몰딜'에 나설 수도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건물을 지을 만한 땅이 많다고 주장하며 "난 김 위원장이 콘도를 지을 수 있는 엄청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북한에는 훌륭한 해안 부자가 많다"고 말했다.
'콘도'는 김정은 위원장이 개발하고 있는 원산을 의미한다. 부동산 개발 업자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과 1·2차 북미 정상회담을 하면서도 북한의 부동산 입지가 훌륭하고 원산이 리조트 개발에 적합한 지역이라고 얘기해왔다. 이날 언급은 김 위원장이 다시 대화에 나오면 대북 제재를 풀고 원산 등을 같이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해석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