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2000명이 넘는 인원이 희망퇴직을 신청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사진=뉴스1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지난해 12월 26일부터 31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 647명이 이달 17일 자로 회사를 떠났다. 전년 674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국민은행은 희망퇴직 신청자 기준을 1972년에서 1974년으로 확대하고 특별퇴직금 규모도 30개월에서 31개월로 늘렸다. 이에 40~50대 중간 관리자급의 신청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은 올해 희망퇴직 대상자를 30대 후반인 1986년생까지 늘렸고, 전년 234명 대비 2배가 넘는 541명으로 올해 희망퇴직 인원을 확정했다.
희망퇴직 대상자에게는 연차와 직급, 출생 연도에 따라 최대 31개월 특별퇴직금과 자녀 학자금, 건강검진비, 창업지원금 등이 지원된다.
지난 2일부터 7일까지 신청자를 받은 우리은행은 올해 희망퇴직 신청자 수가 500명 안팎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에는 362명의 은행원이 은행을 떠났다. 우리은행의 희망퇴직 대상자는 1969년생의 경우 19개월, 1970년생부터 1971년생 이후 대상자는 31개월 치의 퇴직금이 지급된다.
NH농협은행은 지난해 12월 31일 자로 391명의 퇴직이 결정됐다. 전년 372명 대비 20여명의 퇴직자가 증가했다. 대상자는 10년 이상 근무한 만 40~56세 직원으로, 최대 20~28개월 치가 지급됐다.
하나은행은 이달 2일부터 6일까지 준정년 특별퇴직 신청을 받았다. 희망퇴직 규모는 아직 전해지지 않았지만, 예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하나은행 2023년 339명, 2024년 325명이 회사를 떠났다.
은행의 희망퇴직 규모가 늘어난 배경으로는 비대면·디지털 전환으로 은행 점포 수가 감소하면서 필요인력이 줄었고, 희망퇴직 대상자가 30~40대로 확대되면서 해당 연령에 조기 은퇴를 계획하는 직원들이 늘어난 점이다.
또한 새해부터 은행권이 조직 슬림화에 나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5대 은행의 1인당 이익은 2024년 3분기 기준 2억5500만원으로 집계됐고, 같은 기간 인터넷은행 3사는 평균 5억62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은행연합회가 공개한 은행별 2023년 경영현황 공개 보고에서 따르면 KB국민은행은 희망 퇴직금으로는 평균 3억8100만원을 지급했다.
신한은행은 1인당 평균 3억746만원을, 하나은행은 4억915만원, 우리은행은 4억265만원을 지급했다. 특별퇴직금은 1억원 내외의 기본퇴직금과 별도로 지급되는 것을 고려하면 평균 약 5억원가량을 받은 셈이다.
은행 관계자는 "일부 희망퇴직자 중에는 최고 10억원이 넘는 퇴직금을 수령한 은행원도 있다"며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데다, '이자 장사'라는 비판에 은행에서는 퇴직금 규모를 크게 늘릴 수 없어 조금이라도 더 챙겨줄 때 나가자는 분위기도 작용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