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장관 재직 3개월 동안 약 3800만원의 업무추진비를 사용했다. 사진은 김용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11월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23일 뉴스1에 따르면 군 당국은 김 전 장관이 지난해 9월6일 장관 취임 이후 12월5일 사표가 수리되기까지 101차례에 걸쳐 약 3760만원을 업무추진비로 썼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서울 용산구와 여의도 일대에서 '국방 현안업무 토의'을 목적으로 주로 조찬과 오찬을 하는 데 업무추진비를 사용했다. 월별로는 ▲9월 814만원(27차례) ▲10월 1433만원(31차례) ▲11월 1310만원(38차례)이었다.
계엄 선포 당일인 12월3일엔 총 10명의 오찬을 위해 92만원을 사용했다. 또 국회에서 계엄이 해제된 4일 4명의 조찬을 위해 6만원, 4명의 오찬을 위해 5만원, 6명의 별도 국방 현안업무 토의를 위해 13만원을 썼다.
계엄 선포 전날인 12월2일엔 7명의 오찬을 위해 87만원을 썼다. 12월에 5차례에 걸쳐 쓰인 업무추진비는 총 202만원으로, 사용장소는 모두 용산구였다.
다만 정보공개법을 근거로 업무추진비의 구체적인 사용장소는 경호, 보안 등의 취약 우려로 비공개됐다. 같은 기간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차관)이 업무추진비의 사용장소까지 공개한 것과는 대비된다. 김 전 장관이 언제, 어디서, 누구와 식사하는 데 업무추진비를 사용했는지 밝혀진다면 장관 재직 시절 계엄 기획·공모 과정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전 장관은 대통령 경호처장, 국방부 장관으로 일한 데 대한 퇴직금도 신청했다. 김 전 장관은 대통령 경호처장으로 임용된 2022년 5월부터 국방부 장관으로 재직한 지난달까지 연금 수령이 정지됐다가 이달부터 매월 500만원가량의 군인연금을 받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