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국제공항에서 이륙을 준비 중이던 홍콩행 에어부산 여객기 BX391편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탑승객이 대피했다. 사진은 불에 탄 에어부산 여객기. /사진=뉴스1
김해국제공항 주기장에서 탑승객 176명(승객 170명, 탑승정비사 1명 포함한 승무원 6명)을 태우고 이륙을 준비 중이던 홍콩행 에어부산 여객기 BX391편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지만 탑승객 전원이 비상 탈출해 참사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가벼운 부상을 당한 인원은 승객 3명뿐이다.

29일 부산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불은 전날 밤 10시26분쯤 여객기 꼬리 내부에서 시작돼 얼마 지나지 않아 기내까지 연기가 꽉 찼다.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불은 항공유 3만5000파운드(에어부산 측 추정)가 저장된 날개 부분으로 확대돼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했지만 탑승객 전원이 무사히 대피했다.

소방은 화재 발생 12분만인 밤 10시38분 관할 소방서의 인력 및 장비가 전부 출동하는 '대응 1단계'를 발령했다. 유류화재에 불을 끄기 위해 사용되는 폼 소화약재(소화약재에 공기를 섞은 거품)를 이용해 진화에 나섰다.

소방은 장비 68대, 인력 138명을 투입해 화재 발생 1시간여만인 밤 11시24분 초진에 성공했고 7분여 뒤인 밤 11시31분 완전히 불을 껐다.


이날 화재로 큰 불길이 치솟는 등 강렬한 화염이 지속됐지만 폭발성 화재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여객기 동체는 대부분 소실됐다.

여객기에 탑승 중이던 승객 170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76명은 비상슬라이드를 통해 비상탈출했다. 대피 과정에서 승객 3명이 팔·다리, 갈비뼈 등에 타박상을 입었고 이 가운데 2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다.

승객 증언에 따르면 이날 불은 기내 뒤편 선반에서 시작됐다. 에어부산은 현재 비상대책반을 가동하고 승객의 건상상태를 파악한 뒤 출국 취소 절차를 밟는 등 후속 조치 중이다.

국토교통부도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7명을 현장에 급파해 사고원인을 조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