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화 제안에도 핵대응 태세를 강화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사진은 김 국무위원장이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방문했던 모습. /사진=노동신문
29일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이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현지 지도했다고 알렸다.
신문은 홍승무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과 관련 부문 지도 간부들이 동행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방문 날짜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무기급 핵물질 생산의 주요 핵심 공정들을 살펴보고 현행 핵물질 생산 실태와 전망 계획, 2025년 핵무기 연구소 계획 등을 파악했다.
김 위원장은 "올해는 우리 당과 정부가 추진해온 핵무력 강화 노선을 관철해나가는 노정에서 중대한 기간 내 과업들이 결속되고 차기 임무로 이행하는 중대 분수령"이라며 "지금의 앙양된 기세를 더욱 고조시켜 무기급 핵물질 생산계획을 초과 수행하고 나라의 핵방패를 강화하는데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가장 불안정하며 가장 간악한 적대국들과의 장기적인 대결이 불가피한 환경"이라며 "현존하는 각이한 위협들뿐 아니라 보다 새롭고 전망적인 안보 위험성에도 전략적으로 대비하면서 국가의 주권과 이익, 발전권을 담보할수 있는 핵방패의 부단한 강화를 필수불가결하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지난해 9월 핵무기에 사용되는 고농축우라늄(HEU) 농축시설을 처음 공개했다. 당시 김 위원장이 이곳을 방문하며 '무기급 핵물질 생산 강화'를 지시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