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이 현역 시절 대북 임무를 수행하는 우리 요원들을 제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12·3 비상계엄 사태를 사전에 모의한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지난해 12월24일 서울 은평구 서부경찰서에서 검찰로 송치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지난 4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2차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정보사 여단장 출신 박민우 육군 2군단 부군단장(준장)은 노 전 사령관과의 일화를 전했다.
이날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박 준장에게 "왜 노상원이 이렇게 상상 밖의 일을 저질렀다고 보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박 준장은 "제가 2016년 속초 HID 부대장을 할 때 중요한 대북 임무 준비를 6개월 정도 했다"며 "당시 노 사령관은 다른 불합리한 지시도 했는데, 임무가 끝나면 우리 요원들을 제거하라고 했다"고 증언했다. 이어 "어떻게 제거하냐고 물어보니 '폭사시켜라'라고 했다"면서 "폭사 방법은 원격 폭파 조끼를 입히는 것"이라고 전했다.
노 전 사령관은 요원들이 포획될 것 같으면 미리 제거하고, 작전에 성공하더라도 복귀 전 처리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방탄조끼와 비슷한 형태의 폭파 조끼를 최대 수백㎞ 떨어진 곳에서 작동해 대북 임무의 흔적을 없애버린다는 계획이다.
박 준장은 "그 얘기를 듣고 앞에서는 말을 안 했지만, 속으로는 욕이 나왔다"며 "같이 못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때 잔인하고 반인륜적인 면을 봐서 (노 전 사령관의) 계엄 수첩에 적힌 내용을 보고 놀라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반대 의견을 낼 경우 노 전 사령관이 부대장을 다른 사람으로 교체하고 요원 폭사를 추진할까 봐 감정을 표출하거나 지시를 다른 사람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 준장은 "노상원은 준비하는 스타일이었기에 제 선에서 '알았다'고 하고 실제 실행을 안 하면 되는 것이라 넘어갔다"며 "임무는 준비만 하고 실행되지 않았고, (폭사 계획은) 저만 알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 준장은 지난해 8월 언론 보도로 드러난 '정보사령관과 베테랑 여단장 간의 폭행 및 상관 모욕 법정 다툼'에서 여단장이었던 인물이다. 당시 사령관은 문상호 전 사령관으로, 박 준장은 이 사건 이후 정보사에서 직무 배제돼 현 보직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