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기후변화와 자연재해에 대비해 공원녹지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남산공원. /사진=뉴시스
서울시가 기후 변화 대응 차원에서 2040년까지 공원 녹지율과 탄소 흡수량을 높이는 등 공원녹지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공원 조성 시에는 어린이·고령자·장애인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동반 가구 등 수요를 반영한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 열린 제1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4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안)이 조건부 가결됐다.

공원녹지 기본계획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공원녹지 확충과 관리, 이용 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장기적으로 서울이 만들어 갈 공원 녹지의 방향성을 담는다.


이번 계획은 2015년 '2030 공원 녹지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10년 만에 새롭게 발표하는 계획이다. '기후 위기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정원 도시 서울'이라는 비전에 맞춰 정책을 세웠다.

구체적으로 기후변화·방재를 위한 공원녹지 기능을 강화한다. 2040년까지 공원 녹지율을 2023년(29.2%) 대비 2%포인트 늘어난 31.2%까지 올린다.

서울시 공원 녹지가 가진 탄소 흡수량 20만4066톤 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2023년 기준) 보다 8.8% 높인 22만 2162톤 CO2eq를 기록하는 게 목표다.


촘촘한 공원녹지 서비스를 위해 생활권 단위 계획도 수립했다. 녹색 회복·녹색 채움·녹색 이용이라는 3개의 목표를 통해 광역에서 생활권까지 촘촘한 그린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의지다.

시는 저출산·고령화·1인 가구 증가 등 인구 구조 변화는 물론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 ▲공원의 질적 개선 ▲여가공간 적극 확보 ▲스마트 기술 발달 등 여러 변화를 계획에 담았다.

서울시는 입체 공원 등 공원유형도 세부적으로 나눴다. 어린이·고령자·장애인·반려동물 가구의 다양한 공원녹지 수요를 공원 기본계획에 반영하고 공원별로 차별화된 명소화 전략도 마련했다. 패밀리 파크·펫 파크·플라워 파크 등 총 15가지 명소 전략을 세웠다.

이밖에 도심 내 고밀개발과 녹지확충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개방형 녹지 제도를 적극 반영하고 집중녹화가 필요한 지역을 '중점 녹화지구'로 지정한다.

서울 초록길 개념을 새롭게 도입해 서울 둘레길·하천 숲길 등 유형별 공원녹지 네트워크 전략을 수립하고 향후 지역생활권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녹색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번 계획은 지역의 녹지 불균형을 해소했던 직전 계획과 비교해 '생활권 단위' 녹지 조성에 방점을 뒀다. 공원 면적을 늘리는 양적 확충보다 녹지의 질적 제고를 지향한다.

시는 도시계획위원회 위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기본 계획을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