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데이터 조작 의혹에 대해 불가능한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사진은 김 총장이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7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증언하는 모습. /사진=뉴시스(헌법재판소 제공)
지난 11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김 총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7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2023년 7월부터 9월까지 선관위는 국정원,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합동 보안 점검을 실시했다. 당시 국정원은 보안 점검 결과 사이버 보안 관리가 부실하다는 발표를 개별적으로 발표했다. 이에 선관위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배제하고 기술적 부문에 한정해 점검을 실시했고 기술적 해킹 가능성만으론 실제 상황에선 부정선거가 불가능하다. 해킹 침해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총장은 양 기관의 발표 내용에 대해 "당초 양 기관이 협의해 결과를 공동 발표하면 어떻겠냐고 진행됐다가 서로 결과에 대한 내용을 어디까지 담을지 의견 일치를 못 봐서 따로 발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정원이 선관위의 자체 보안시스템 일부를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모의 해킹을 한 것이 맞느냐"는 국회 대리인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김 총장은 "보안 컨설팅 이후 지적된 사항들과 관련해 정부가 상당한 돈을 지원해 우리 선거 서버를 개선했다"며 "그 이후에도 자문단을 꾸려서 한 번 더 내부 검증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후 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고 계속해서 선관위의 선거관리 제도에 허점이 있고 그로 인해서 서버와 관련돼 부정선거 주장이 이뤄진다는 것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이날 윤 대통령 측이 선관위의 데이터 보안 취약성을 지적하면서 과거 비리 사안을 언급하자 김 총장이 "무슨 관련이 있느냐"고 반발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