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이 여객기 참사 희생자 합동추모식에 참석해 추모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광주시 제공)
지난해 12월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추락 사고에 이어 지난 1월30일 김해국제공항의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사고에 대해서도 정확한 원인 규명 전부터 정부가 사고명을 단정지었기 때문이다.
먼저 무안공항 참사는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명명해 항공사만의 잘못인 것처럼 오인할 여지를 남겼다.
사고 다음 날인 12월30일 국토교통부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사고 발생 개요도를 통해 설명했는데 해당 자료에는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개요도'라고 적혀 있었다. 지난 1월18일 무안공항에서 열린 추모식 명칭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합동추모식'이었다. 지역 및 공항 등 이름은 배제했다.
에어부산은 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를 금지하고 있다. /사진=뉴스1
항공업계는 국토부 진단에 따른 보조배터리 직접 소지 규정 강화로 기내에서 대형 화재 사고가 발생하지 않길 기대한다. 또 승객이 직접 보조배터리를 소지함으로써 기내 화재 발생시 초기 진압이 가능하길 바란다.
전문가들은 항공사에게 책임과 의무를 떠넘기기 전에 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처럼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대한 기준을 명확히 세우고, 심사 때부터 직접 나서야 한다"며 "정부 차원에서 정책을 만들고 시행하면서 항공사는 물론 여행사, 여행객들도 이를 사전에 인지하고 따르고 있다"고 했다.
한편 국토부는 오는 4월 항공안전 혁신방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