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티그룹이 고객 계좌에 280달러(약 41만원)를 입금하려다 실수로 81조달러(약 11경8503조원)를 입금해 부랴부랴 취소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사진=로이터
미국 시티그룹이 고객 계좌에 280달러(약 41만원)을 입금하려다가 81조 달러(약 11경8503조원)를 입금하는 실수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1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 CNBC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이 사건은 지난해 4월 시티그룹 직원 2명의 실수로 벌어졌다. 당시 시티그룹은 고객 계좌에 280달러(약 41만원)를 보내려다가 실수로 81조달러를 송금했다. 결제 담당인 직원과 거래 담당인 직원 모두 이를 확인하지 못했고, 이 거래는 다음 날 아침 처리되도록 승인됐다.

시티그룹은 다행히 송금 90분 만에 오류를 포착했다. 한 직원이 회사 계좌에서 거액이 빠져나간 사실을 확인해 이를 보고했고, 시티그룹은 수 시간 만에 송금을 취소했다.


시티그룹 측은 "내부 통제 시스템이 신속하게 입력 오류를 식별해 송금을 취소했다"며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은행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도 막았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 사건이 은행이나 고객에게 미친 영향은 결과적으로 없었지만,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하다는 점을 상기시켰다"고 덧붙였다.

시티그룹의 이런 송금 착오 실수는 2020년에도 발생했다. 은행이 화장품 그룹 레브론의 채권단에게 800만달러(약 117억원) 상당의 이자를 송금하려다 실수로 9억달러(약 1조 3167억원)에 달하는 금액을 송금한 사건이다. 당시 일부 채권자들이 지급금을 돌려주길 거부하면서 그룹은 2년 동안 반환소송을 해야 했고, 이 사건으로 마이클 코뱃 당시 최고경영자(CEO)가 자리에서 물러났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지난해 시티그룹에서 10억달러(약 1조4630억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할 뻔한 사례는 10건으로, 전년 13건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7월 시티그룹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충분한 진전이 없다는 이유로 1억3600만달러(약 1990억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2020년에는 일부 위험 및 데이터 장애로 4억달러(약 5852억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