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수 SK온 R&D 본부장이 5일 개막한 인터배터리2025에서 취재진과 인터뷰하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박기수 SK온 R&D 본부장은 "원통형 배터리는 시장에서 표준화된 사이즈로 폼팩터를 다양하게 개발했다"며 "양산 레코드를 가져가기 위해 생산 기술 방향성을 잡아서 차별화된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5일 밝혔다.
박 본부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에서 46파이 배터리 개발이 가장 늦다는 기자들의 물음에 이같이 말했다.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각형 배터리 수주 상황에 대한 물음에 "개발은 완료된 상태고, 양산을 위해 최대한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고객 수주 관련해 컨택을 하고 있고, 양산은 고객의 자동차 시장 타이밍에 맞춰야 하기 때문에 그 일정에 맞춰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액침냉각' 기술 상용화 시점에 대해선 "현재 SK엔무브와의 협업을 통해 차별화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개발까지 2년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이어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전기차 모두 적용을 진행 중이고, 자동차 회사와 협업이 필요한 일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도 함께 컨택 중이다"고 덧붙였다.

이석희 대표 취임으로 R&D 분야가 힘을 받고 있다고도 언급했다. 박 본부장은 "이 대표는 기술 기반의 좋은 제품을 저가에 제공해 완성차 업체와 시장이 만족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우리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하신다"며 "R&D에 대한 투자와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고 말했다.